본 문서는 나도코딩(유뷰트 영상) 자료를 스터디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. (출처 : 유튜브 <나도코딩>)
- 문자열 포맷
- 탈출문자 (이스케이프문자)
- quiz
문자열 포맷 : %d, %s, %c, format(),
문자열 포맷은 포맷코드(%d, %s, %c )를 사용하는 방법, 포맷함수( { }, foramt)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문자 합치기 : + 또는 , 를 사용해서 문자를 합칠 수 있습니다.
, 로 문자를 합치는 경우에 space 가 들어 갑니다.
print("a" + "a") # 결과값 aa 로 출력된다
print("a", "b") # 결과값은 a b 로 출력된다.
문자열을 작성 후 치환하고 싶은 변수값을 자표형태에 맞게 포맷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포맷코드 : %d 는 정수(integer), %f 는 실수(float), %s 는 문자열(string)
# 방법 1
print("나는 %d살입니다." % 20) # % 뒤에 있는 글자를 d에 넣겠다의 의미. d에 올 수 있는 건 정수
print("나는 %s를 좋아해요." % "파이썬") # s에 올 수 있는 건 문자열 str 값
print("Apple은 %c로 시작해요." % "A") # 캐릭터로 한 글자만 받을 때
# %s 을 그냥 사용해도 됩니다.
print("나는 %s살입니다." % 20)
print("나는 %s색과 %s 색을 좋아해요." % ("파란", "빨간"))
# 예시 1
name = "Amy"
print("Hello %s" % (name)) # Hello Amy 가 출력됩니다.
# 예시 2
day = 7
print("03 - %s - 2018" % (day)) # 03 - 7 - 2018 이 출력
print("03 - %2d - 2018" % (day)) # 03 - 7 - 2018 이 출력
print("03 - %0d - 2018" % (day)) # 03 - 7 - 2018 이 출력
print("03 - %02d - 2018" % (day)) # 03 - 07 - 2018 이 출력
print("03 - %03d - 2018" % (day)) # 03 - 007 - 2018 이 출력
# 방법 2
print("나는 {}살입니다." .format(20))
print("나는 {}색과 {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"blue", "red"))
print("나는 {0}색과 {1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"파란", "빨간"))
print("나는 {1}색과 {0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"파란", "빨간"))
# 방법 3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age = 20, color = "빨강"))
print(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 .format(age = 20, color = "빨강"))
탈출문자 (이스케이프 문자)
# \n : 줄바꿈. 커서를 맨 앞으로 = 커서 뒤의 글자가 함께 이동
print("백문이 불여일견 \n백견이 불여일타") #줄 바꿈
# \" \" : 문장 안에 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 때
print("저는 '사과' 입니다.")
print('저는 "사과" 입니다')
print("저는 \"사과\" 입니다")
print("저는 \'사과\' 입니다")
# \\ : 문장내에서 \ 표시할 때
print("c:\\user\\desltap\\Python")
# \r : 커서를 맨 앞으로 이동(커서 뒤 글자가 함께 이동)
print("Red Apple\rpine")
# \r 예제
sample = "1234\r567" # 커서 뒤 567이 맨 앞으로 이동
print(sample) # 5674 가 출력됨
# \b : 백스페이스 (한 글자 삭졔)
print("Redd\bApple") # RedApple
# \t : Tab
print("Red\tApple") # Red Apple
quiz - 사이트별로 비밀번호를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. replace, index, len, count
# 예시 : http://naver.com 일 때
# Rule1 : http:// 부분은 제외
# Rule2 : 처음 만나는 점(.) 이후 부분은 제외
# Rule3 : 남은 글자 중 처음 세자리 + 글자 갯수 + 글자 내 'e' 갯수 + 'i'로 구성하는 비밀번호 만들기
url = "http://naver.com"
my_str = url.replace("http://", "") # rule1, replace 사용
print(my_str) # naver.com 이 출력
my_str = my_str[:my_str.index(".")] # rule2
print(my_str) # naver 이 출력
password = my_str[:3] + str(len(my_str)) + str(my_str.count("e")) + !
print("{0} 의 비밀번호는 {1} 입니다.".format(url, password))
# 출력 값은 nav51!
리스트. append, insert, reverse, pop, sort, clear, extend
# 리스트 []
subway1 = 10
subway2 = 20
subway3 = 30
subway = [10, 20, 30] # 위 세 줄을 한 줄 리스트로 표현 가능
print(subway)
subway = ["유재석", "조세호", "박명수"]
print(subway)
# 조세호시기 몇 번째 칸에 타고 있나
print(subway.index("조세호"))
# 하하씨가 다음 정류장에서 탑승
subway.append("하하")
print(subway)
# 정형돈씨가 유재석, 조세호 사이에 탑승
subway.insert(1, "정형돈")
print(subway)
# 뒤에서 한 명씩 꺼냄
print(subway.pop())
print(subway)
print(subway.pop())
print(subway)
# 같은 이름
subway.append("유재석")
print(subway)
print(subway.count("유재석"))
# 정렬
num_list = [5, 2, 8]
num_list.sort()
print(num_list)
# 순서 뒤집기
num_list.reverse()
print(num_list)
# 모두 지우기
num_list.clear()
print(num_list)
# 다양한 자료형 함께 사용
mix_list = ["조세호", 20, True]
print(mix_list)
# 리스트 확장
num_list = [5, 2, 9]
mix_list = ["조세호", 20, True]
num_list.extend(mix_list)
print(num_list) # [5, 2, 9, '조세호', 20, True]
'SW.AI 트랙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파이썬 기초. 자료구조의 변경 (0) | 2022.12.27 |
---|---|
[python] 파이썬 기초. 사전, 튜플, 집합(세트) (0) | 2022.12.23 |
[python] 파이썬 기초. 연산, random, sentence, 슬라이싱 (0) | 2022.12.18 |
[Python] 파이썬 기초 - if 조건문, while 반복문 (0) | 2022.12.16 |
[Python] 파이썬 기초. 주석처리, 내장함수, 함수정의 (0) | 2022.12.16 |